
































HIV 치료의 유망한 발전: 최신 연구 동향
- 최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HIV/AIDS 환자가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후 질병이 완치되었다고 전했다. 이 위험한 치료를 받은 후 HIV로부터 완치 판정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결과는 희망적이지만, 40여 년 전 처음 발견된 이 치명적인 질환에 대한 확실한 대중적 치료법은 아직 없다. 그렇다면 줄기세포 이식 치료법은 정확히 무엇이며 어떻게 작용하였을까?
과학자들이 HIV 치료제를 어떻게 찾고 있는지, 그리고 지난 40년 동안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알아본다.
© Shutterstock
0 / 33 Fotos
줄기세포 이식
- 2024년 7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베를린 환자'로 알려진 독일의 한 남성이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후 바이러스가 없는 것으로 발표된 최소 7번째 HIV 감염자가 됐다는 보도를 실었다.
© Shutterstock
1 / 33 Fotos
CCR5 유전자
- 앞서 HIV에 감염된 6명도 비슷한 치료를 받고 바이러스가 완치되었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 6명 모두 기존의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해 골수 이식을 받았는데, 1명을 제외한 모두는 CCR5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기증자의 줄기세포를 이식받았다. 이 돌연변이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IV)가 인체 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Shutterstock
2 / 33 Fotos
제네바 환자
- 그러나 한 환자(제네바 환자)는 CCR5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증자로부터 이식을 받았는데, 이는 HIV바이러스가 여전히 그들의 세포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경후를 보였다.
© Shutterstock
3 / 33 Fotos
장기적 완화 상태
- 거의 2년 후, 그리고 이 환자가 혈액 내 HIV의 양을 줄이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중단한 후에도, 의사들은 이 남성의 체내에서 HIV바이러스의 흔적을 찾지 못했다. 이 남성의 HIV가 다시 발견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지만, 연구원들은 이 "제네바 환자"가 장기적 완화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 Shutterstock
4 / 33 Fotos
무엇이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 이러한 결과들은 희망적이지만, 줄기 세포 이식은 여전히 위험한 과정으로 남아 있고 일반적으로 백혈병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진행된다. 하지만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약물과 치료법이 존재한다.
© Shutterstock
5 / 33 Fotos
TACK
- 이 중에는 HIV-1에 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강력한 표적 세포 사멸 활성화제(TACK) 분자가 있다. TACK 약물은 HIV에 감염된 저장소 세포(HIV 저장소란 HIV에 감염되었지만 수개월 또는 수년간 새로운 HIV를 생성하지 않는 세포 그룹)를 죽임으로써 초기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
© Getty Images
6 / 33 Fotos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 또 다른 방법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RT)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체내 HIV바이러스 양을 줄여 면역관련 합병증이 없이 삶을 오래 지속가능 하게 한다. 그러나 비활성 형태의 바이러스는 여전히 몸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환자가 ART 복용을 중단하는 순간 잠복하고 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어 에이즈로 이어질 수 있다.
© Shutterstock
7 / 33 Fotos
바이러스 박멸
- 일부 환자들은 ART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완치를 경험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박멸, 즉 체내의 모든 HIV를 제거하는 것도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HIV가 다른 세포에 침투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편집”하여 사람의 DNA를 변경하는 유전자 치료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Shutterstock
8 / 33 Fotos
에이즈 예방약
- 연구에 따르면 에이즈 예방약(PrEP)은 HIV 전염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PrEP를 처방받아 복용하면 성관계로 인한 HIV 감염 위험을 약 99%까지 낮출 수 있다. 또한 PrEP는 주사제 사용으로 인한 HIV 감염 위험을 74%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Shutterstock
9 / 33 Fotos
"베를린 환자"
- 앞서 언급하였듯이, 줄기세포 이식은 희망적인 결과를 낳았다. 2008년 "베를린 환자"라고 불렸던 미국인 티모시 레이 브라운은 골수성 백혈병과 HIV에 동시 감염되었다. 그는 2007년 줄기 이식을 받은 후 HIV/AIDS를 완치한 첫 번째 사람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는 결국 백혈병이 재발하여 2020년에 사망했다. 그렇다면 인류가 HIV와 싸울 수 있는 진정한 방법이 있을까?
© Getty Images
10 / 33 Fotos
UN의 목표
- 유엔은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HIV와 에이즈를 종식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후 지금까지 40년이 지나도록 이 병의 치료제가 없는 상태이지만, 바이러스를 이해하고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진전은 주목할 만하다. HIV가 어떻게 발생했고 인류는 어떻게 반응했는지 살펴보자.
© Getty Images
11 / 33 Fotos
20세기 초
- HIV/AIDS 타임라인은 사실상 20세기 초 중앙아프리카에서 침팬지에게서 발견되는 유인원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인간에게 유입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이는 HIV의 대유행 형태를 만들게 되었다.
© Public Domain
12 / 33 Fotos
1959년: 인간에게 HIV가 발병한 최초의 사례
- 1959년 콩고에서 사망한 반토족 남성에게서 인간에게 HIV가 처음으로 감염된 사례로 보고되었다. 이 발견은 말라리아에 대한 연구 중에 이루어졌는데, 그의 혈액을 검사해보니 나중에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 Getty Images
13 / 33 Fotos
1959년 : 폐렴구균 폐렴
- 1959년에도 뉴욕시의 한 주민이 에이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폐렴막대균 폐렴에 걸려 사망했다.
© Getty Images
14 / 33 Fotos
1960년대: 원숭이에서 인간으로
- 1960년대에 HIV-2로 알려진 HIV 바이러스 변종이 서아프리카에서 확인되었다. HIV-2는 아마도 기니비사우에서 수티 망고베이 원숭이로부터 인간에게 전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 Shutterstock
15 / 33 Fotos
1977년: 에이즈 관련 원인으로 사망한 첫 여성 사망자
- 1977년 12월, 덴마크의 의사이자 외과의사인 그레테 라스크가 폐렴으로 추정되는 병으로 사망했다. 그녀는 콩고에서 일년을 보냈었는데, 그녀가 코펜하겐에서 사망한 지 10년 후, 그녀가 병마와 싸우는 동안 받았던 혈액 검사가 재분석되었다. 의사들은 그녀가 사실 HIV 양성이었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레테 라스크는 에이즈와 관련된 원인들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첫 번째 여성이되었다.
© Getty Images
16 / 33 Fotos
1980년: 미국 최초의 에이즈 전염병 환자 발생
- 1980년 4월 24일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게이 켄 혼은 면역력이 약해진 것과 관련된 희귀하고 공격적인 형태의 암인 카포시 육종에 걸렸다. 그는 11월에 사망했다. CDC는 혼을 미국 최초의 에이즈 환자로 소급적용하여 확인했다.
© Shutterstock
17 / 33 Fotos
1981년: 에이즈에 관한 최초의 과학 보고서 발표
- 이듬해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에이즈에 관한 첫 번째 과학 보고서를 발표했다. (1982년 질병통제예방센터가 처음으로 "에이즈"라는 용어를 사용함). 한편, 그렇지 않으면 더 많은 수의 건강한 젊은 게이 남성들이 카포시 육종에 걸린 것으로 보고되었다. 에이즈는 동성애자들에게만 발병한다는 널리 퍼진 오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기 시작하고 있었다.
© Getty Images
18 / 33 Fotos
1982년: HIV 인지도 확산
- 1982년, 미국 작가이자 극작가인 래리 크레이머는 '게이 맨즈 헬스 크리시스'를 설립했다. 5년 후, 에이즈 전염병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국제적인 풀뿌리 정치 단체인 '액트 업'을 또한 설립한다. 영국에서 에이즈와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사람들 중 한 명인 테리 히긴스를 기리기 위해 테런스 히긴스 트러스트가 설립되었다.
© Getty Images
19 / 33 Fotos
1983년: HIV와 AIDS의 연관성
- 1983년 1월 프랑스 바이러스학자인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를 에이즈의 원인으로 규명하면서 HIV/AIDS 퇴치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1984년에는 HIV와 에이즈 사이의 연관성을 정확히 밝혀낸 미국의 생의학 연구자 로버트 갤로가 HIV 혈액 검사 개발에 도움을 주었다.
© Getty Images
20 / 33 Fotos
1984년: 질병의 매개체
- 또한 1984년 CDC는 성 접촉과 혈액 및 혈액 제제에 대한 노출이 이 질병의 가장 유력한 매개체라고 발표했다.
© Shutterstock
21 / 33 Fotos
1985년: 록 허드슨의 죽음
- 록 허드슨은 1984년 6월 5일 HIV 진단을 받았지만 처음에는 그의 병을 비밀로 하기였다. 1985년 10월 2일 할리우드 영화배우는 사망했다. 허드슨은 HIV 진단을 대중에게 알린 첫 번째 연예인이되었다. 리베라체, 프레디 머큐리, 루돌프 누레예프와 같은 더 많은 유명인들도 나중에 이 병에 굴복하게된다.
© Getty Images
22 / 33 Fotos
1986년: 공중보건 위기
- 1986년에 이르러 미국에는 공중보건 위기가 선포되었다. 다른 나라들도 HIV/AIDS의 확산에 경종을 울렸다. 위기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에는 공중보건 의식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포스터가 전국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 Getty Images
23 / 33 Fotos
1987년: 미신과 오해
- 1987년, CDC는 동성애자만 에이즈에 걸린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모든 사람이 위험하다”고 경고하는 대규모 대중 교육 캠페인도 시작했다. 그리고 추가적인 포스터 캠페인을 통해 악수, 접시, 변기, 문 손잡이 또는 에이즈 감염자와의 일상적인 접촉을 통해 에이즈에 감염될 수 있다는 증거가 없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상기시켰다.
© Getty Images
24 / 33 Fotos
1987년: 에이즈 추모 퀼트
- 1987년에는 에이즈 추모 퀼트로 알려진 첫 번째 패널도 제작되었다. 오늘날 이 장대한 태피스트리에는 에이즈로 사망한 110,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기리는 약 50,000개의 패널이 있으며, 이는 역사상 가장 큰 커뮤니티 예술 프로젝트이다.
© Public Domain
25 / 33 Fotos
1987년: FDA AZT 승인
- 1987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최초의 에이즈 치료 약물인 AZT를 승인하고, 8월에는 FDA가 HIV 후보 백신에 대한 최초의 인체 실험을 승인했다.
© Getty Images
26 / 33 Fotos
1988년: WHO, 제1회 세계 에이즈의 날 선언
- 세계 에이즈의 날은 1988년 12월 1일 세계보건기구에서 처음 선포했다. 1991년부터 빨간 리본은 에이즈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 Shutterstock
27 / 33 Fotos
1990년: 라이언 화이트, 에이즈와 관련 질병으로 사망
- 90년대는 에이즈 진단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더 심해졌다. 미국의 10대 청소년 라이언 화이트는 에이즈 진단을 받은 후 학교에서 수업에 참석하지 못하게 되자 미국 전역 에서 HIV/AIDS의 인식개선 포스터에 나오는 어린이가 되었다. 라이언 화이트는 혈액 치료를 받다가 HIV에 감염되었으며, 1990년 4월 8일 1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Getty Images
28 / 33 Fotos
1993년: 영화 '필라델피아' 개봉
- 1993년 12월, 영화 '필라델피아'가 극장에서 개봉했다. 톰 행크스 주연의 이 영화는 동성애 혐오와 HIV/AIDS를 다룬 최초의 주류 영화 중 하나로 비평가들 사이에서 뿐만아니라,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 NL Beeld
29 / 33 Fotos
1994년: 사망원인 1위
- 1994년 11월까지 에이즈는 25~44세 미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었으며, 미국에서 보고된 총 에이즈 사례 수는 50만 건을 넘어섰다. 사진은 에이즈 환자가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이다.
© Getty Images
30 / 33 Fotos
2000년 : 수혈에 의한 감염 발생
- 2000년, 새로운 세기가 시작될 무렵, 세계보건기구는 신규 HIV 감염의 15~20%가 수혈로 인한 것으로 추정했다.
© Shutterstock
31 / 33 Fotos
계속되는 투쟁
- UNAID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3,990만 명의 사람들이 HIV에 걸려 살아가고 있다. 또한 통계에 따르면, 2023년에는 130만 명의 사람들이 HIV에 걸렸다고 한다. 출처: (Scientific American) (ABC News) (aidsmap) (History) (CROI Conference) (UNAID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ONCURATING)
© Shutterstock
32 / 33 Fotos
HIV 치료의 유망한 발전: 최신 연구 동향
- 최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HIV/AIDS 환자가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후 질병이 완치되었다고 전했다. 이 위험한 치료를 받은 후 HIV로부터 완치 판정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결과는 희망적이지만, 40여 년 전 처음 발견된 이 치명적인 질환에 대한 확실한 대중적 치료법은 아직 없다. 그렇다면 줄기세포 이식 치료법은 정확히 무엇이며 어떻게 작용하였을까?
과학자들이 HIV 치료제를 어떻게 찾고 있는지, 그리고 지난 40년 동안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알아본다.
© Shutterstock
0 / 33 Fotos
줄기세포 이식
- 2024년 7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베를린 환자'로 알려진 독일의 한 남성이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후 바이러스가 없는 것으로 발표된 최소 7번째 HIV 감염자가 됐다는 보도를 실었다.
© Shutterstock
1 / 33 Fotos
CCR5 유전자
- 앞서 HIV에 감염된 6명도 비슷한 치료를 받고 바이러스가 완치되었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 6명 모두 기존의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해 골수 이식을 받았는데, 1명을 제외한 모두는 CCR5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기증자의 줄기세포를 이식받았다. 이 돌연변이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IV)가 인체 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Shutterstock
2 / 33 Fotos
제네바 환자
- 그러나 한 환자(제네바 환자)는 CCR5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증자로부터 이식을 받았는데, 이는 HIV바이러스가 여전히 그들의 세포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경후를 보였다.
© Shutterstock
3 / 33 Fotos
장기적 완화 상태
- 거의 2년 후, 그리고 이 환자가 혈액 내 HIV의 양을 줄이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중단한 후에도, 의사들은 이 남성의 체내에서 HIV바이러스의 흔적을 찾지 못했다. 이 남성의 HIV가 다시 발견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지만, 연구원들은 이 "제네바 환자"가 장기적 완화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 Shutterstock
4 / 33 Fotos
무엇이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 이러한 결과들은 희망적이지만, 줄기 세포 이식은 여전히 위험한 과정으로 남아 있고 일반적으로 백혈병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진행된다. 하지만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약물과 치료법이 존재한다.
© Shutterstock
5 / 33 Fotos
TACK
- 이 중에는 HIV-1에 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강력한 표적 세포 사멸 활성화제(TACK) 분자가 있다. TACK 약물은 HIV에 감염된 저장소 세포(HIV 저장소란 HIV에 감염되었지만 수개월 또는 수년간 새로운 HIV를 생성하지 않는 세포 그룹)를 죽임으로써 초기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
© Getty Images
6 / 33 Fotos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 또 다른 방법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RT)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체내 HIV바이러스 양을 줄여 면역관련 합병증이 없이 삶을 오래 지속가능 하게 한다. 그러나 비활성 형태의 바이러스는 여전히 몸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환자가 ART 복용을 중단하는 순간 잠복하고 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어 에이즈로 이어질 수 있다.
© Shutterstock
7 / 33 Fotos
바이러스 박멸
- 일부 환자들은 ART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완치를 경험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박멸, 즉 체내의 모든 HIV를 제거하는 것도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HIV가 다른 세포에 침투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편집”하여 사람의 DNA를 변경하는 유전자 치료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Shutterstock
8 / 33 Fotos
에이즈 예방약
- 연구에 따르면 에이즈 예방약(PrEP)은 HIV 전염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PrEP를 처방받아 복용하면 성관계로 인한 HIV 감염 위험을 약 99%까지 낮출 수 있다. 또한 PrEP는 주사제 사용으로 인한 HIV 감염 위험을 74%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Shutterstock
9 / 33 Fotos
"베를린 환자"
- 앞서 언급하였듯이, 줄기세포 이식은 희망적인 결과를 낳았다. 2008년 "베를린 환자"라고 불렸던 미국인 티모시 레이 브라운은 골수성 백혈병과 HIV에 동시 감염되었다. 그는 2007년 줄기 이식을 받은 후 HIV/AIDS를 완치한 첫 번째 사람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는 결국 백혈병이 재발하여 2020년에 사망했다. 그렇다면 인류가 HIV와 싸울 수 있는 진정한 방법이 있을까?
© Getty Images
10 / 33 Fotos
UN의 목표
- 유엔은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HIV와 에이즈를 종식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후 지금까지 40년이 지나도록 이 병의 치료제가 없는 상태이지만, 바이러스를 이해하고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진전은 주목할 만하다. HIV가 어떻게 발생했고 인류는 어떻게 반응했는지 살펴보자.
© Getty Images
11 / 33 Fotos
20세기 초
- HIV/AIDS 타임라인은 사실상 20세기 초 중앙아프리카에서 침팬지에게서 발견되는 유인원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인간에게 유입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이는 HIV의 대유행 형태를 만들게 되었다.
© Public Domain
12 / 33 Fotos
1959년: 인간에게 HIV가 발병한 최초의 사례
- 1959년 콩고에서 사망한 반토족 남성에게서 인간에게 HIV가 처음으로 감염된 사례로 보고되었다. 이 발견은 말라리아에 대한 연구 중에 이루어졌는데, 그의 혈액을 검사해보니 나중에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 Getty Images
13 / 33 Fotos
1959년 : 폐렴구균 폐렴
- 1959년에도 뉴욕시의 한 주민이 에이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폐렴막대균 폐렴에 걸려 사망했다.
© Getty Images
14 / 33 Fotos
1960년대: 원숭이에서 인간으로
- 1960년대에 HIV-2로 알려진 HIV 바이러스 변종이 서아프리카에서 확인되었다. HIV-2는 아마도 기니비사우에서 수티 망고베이 원숭이로부터 인간에게 전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 Shutterstock
15 / 33 Fotos
1977년: 에이즈 관련 원인으로 사망한 첫 여성 사망자
- 1977년 12월, 덴마크의 의사이자 외과의사인 그레테 라스크가 폐렴으로 추정되는 병으로 사망했다. 그녀는 콩고에서 일년을 보냈었는데, 그녀가 코펜하겐에서 사망한 지 10년 후, 그녀가 병마와 싸우는 동안 받았던 혈액 검사가 재분석되었다. 의사들은 그녀가 사실 HIV 양성이었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레테 라스크는 에이즈와 관련된 원인들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첫 번째 여성이되었다.
© Getty Images
16 / 33 Fotos
1980년: 미국 최초의 에이즈 전염병 환자 발생
- 1980년 4월 24일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게이 켄 혼은 면역력이 약해진 것과 관련된 희귀하고 공격적인 형태의 암인 카포시 육종에 걸렸다. 그는 11월에 사망했다. CDC는 혼을 미국 최초의 에이즈 환자로 소급적용하여 확인했다.
© Shutterstock
17 / 33 Fotos
1981년: 에이즈에 관한 최초의 과학 보고서 발표
- 이듬해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에이즈에 관한 첫 번째 과학 보고서를 발표했다. (1982년 질병통제예방센터가 처음으로 "에이즈"라는 용어를 사용함). 한편, 그렇지 않으면 더 많은 수의 건강한 젊은 게이 남성들이 카포시 육종에 걸린 것으로 보고되었다. 에이즈는 동성애자들에게만 발병한다는 널리 퍼진 오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기 시작하고 있었다.
© Getty Images
18 / 33 Fotos
1982년: HIV 인지도 확산
- 1982년, 미국 작가이자 극작가인 래리 크레이머는 '게이 맨즈 헬스 크리시스'를 설립했다. 5년 후, 에이즈 전염병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국제적인 풀뿌리 정치 단체인 '액트 업'을 또한 설립한다. 영국에서 에이즈와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사람들 중 한 명인 테리 히긴스를 기리기 위해 테런스 히긴스 트러스트가 설립되었다.
© Getty Images
19 / 33 Fotos
1983년: HIV와 AIDS의 연관성
- 1983년 1월 프랑스 바이러스학자인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를 에이즈의 원인으로 규명하면서 HIV/AIDS 퇴치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1984년에는 HIV와 에이즈 사이의 연관성을 정확히 밝혀낸 미국의 생의학 연구자 로버트 갤로가 HIV 혈액 검사 개발에 도움을 주었다.
© Getty Images
20 / 33 Fotos
1984년: 질병의 매개체
- 또한 1984년 CDC는 성 접촉과 혈액 및 혈액 제제에 대한 노출이 이 질병의 가장 유력한 매개체라고 발표했다.
© Shutterstock
21 / 33 Fotos
1985년: 록 허드슨의 죽음
- 록 허드슨은 1984년 6월 5일 HIV 진단을 받았지만 처음에는 그의 병을 비밀로 하기였다. 1985년 10월 2일 할리우드 영화배우는 사망했다. 허드슨은 HIV 진단을 대중에게 알린 첫 번째 연예인이되었다. 리베라체, 프레디 머큐리, 루돌프 누레예프와 같은 더 많은 유명인들도 나중에 이 병에 굴복하게된다.
© Getty Images
22 / 33 Fotos
1986년: 공중보건 위기
- 1986년에 이르러 미국에는 공중보건 위기가 선포되었다. 다른 나라들도 HIV/AIDS의 확산에 경종을 울렸다. 위기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에는 공중보건 의식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포스터가 전국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 Getty Images
23 / 33 Fotos
1987년: 미신과 오해
- 1987년, CDC는 동성애자만 에이즈에 걸린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모든 사람이 위험하다”고 경고하는 대규모 대중 교육 캠페인도 시작했다. 그리고 추가적인 포스터 캠페인을 통해 악수, 접시, 변기, 문 손잡이 또는 에이즈 감염자와의 일상적인 접촉을 통해 에이즈에 감염될 수 있다는 증거가 없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상기시켰다.
© Getty Images
24 / 33 Fotos
1987년: 에이즈 추모 퀼트
- 1987년에는 에이즈 추모 퀼트로 알려진 첫 번째 패널도 제작되었다. 오늘날 이 장대한 태피스트리에는 에이즈로 사망한 110,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기리는 약 50,000개의 패널이 있으며, 이는 역사상 가장 큰 커뮤니티 예술 프로젝트이다.
© Public Domain
25 / 33 Fotos
1987년: FDA AZT 승인
- 1987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최초의 에이즈 치료 약물인 AZT를 승인하고, 8월에는 FDA가 HIV 후보 백신에 대한 최초의 인체 실험을 승인했다.
© Getty Images
26 / 33 Fotos
1988년: WHO, 제1회 세계 에이즈의 날 선언
- 세계 에이즈의 날은 1988년 12월 1일 세계보건기구에서 처음 선포했다. 1991년부터 빨간 리본은 에이즈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 Shutterstock
27 / 33 Fotos
1990년: 라이언 화이트, 에이즈와 관련 질병으로 사망
- 90년대는 에이즈 진단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더 심해졌다. 미국의 10대 청소년 라이언 화이트는 에이즈 진단을 받은 후 학교에서 수업에 참석하지 못하게 되자 미국 전역 에서 HIV/AIDS의 인식개선 포스터에 나오는 어린이가 되었다. 라이언 화이트는 혈액 치료를 받다가 HIV에 감염되었으며, 1990년 4월 8일 1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Getty Images
28 / 33 Fotos
1993년: 영화 '필라델피아' 개봉
- 1993년 12월, 영화 '필라델피아'가 극장에서 개봉했다. 톰 행크스 주연의 이 영화는 동성애 혐오와 HIV/AIDS를 다룬 최초의 주류 영화 중 하나로 비평가들 사이에서 뿐만아니라,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 NL Beeld
29 / 33 Fotos
1994년: 사망원인 1위
- 1994년 11월까지 에이즈는 25~44세 미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었으며, 미국에서 보고된 총 에이즈 사례 수는 50만 건을 넘어섰다. 사진은 에이즈 환자가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이다.
© Getty Images
30 / 33 Fotos
2000년 : 수혈에 의한 감염 발생
- 2000년, 새로운 세기가 시작될 무렵, 세계보건기구는 신규 HIV 감염의 15~20%가 수혈로 인한 것으로 추정했다.
© Shutterstock
31 / 33 Fotos
계속되는 투쟁
- UNAID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3,990만 명의 사람들이 HIV에 걸려 살아가고 있다. 또한 통계에 따르면, 2023년에는 130만 명의 사람들이 HIV에 걸렸다고 한다. 출처: (Scientific American) (ABC News) (aidsmap) (History) (CROI Conference) (UNAID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ONCURATING)
© Shutterstock
32 / 33 Fotos
HIV 치료의 유망한 발전: 최신 연구 동향
면역파괴자, 우리는 그 해답에 얼마나 가까이 다가왔는가?
© Shutterstock
최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HIV/AIDS 환자가 줄기세포 이식을 받은 후 질병이 완치되었다고 전했다. 이 위험한 치료를 받은 후 HIV로부터 완치 판정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결과는 희망적이지만, 40여 년 전 처음 발견된 이 치명적인 질환에 대한 확실한 대중적 치료법은 아직 없다. 그렇다면 줄기세포 이식 치료법은 정확히 무엇이며 어떻게 작용하였을까?과학자들이 HIV 치료제를 어떻게 찾고 있는지, 그리고 지난 40년 동안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알아본다.
맞춤 추천




































인기
- 실시간
- 일간
- 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