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폰과 헤드폰이 당신의 청력을 감퇴시킬까?
- 1979년 소니에서 워크맨이 출시된 이래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음악을 즐기고 있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시끄러운 출퇴근길에도 나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즐거움은 피곤한 일상 속에 작은 휴식을 선사한다. 그러나 세상의 소음은 더욱 커지고 있고, 소리를 귀 속으로 더 크게 전달해주는 여러 기기 덕분에 청각 손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조기 청력 손상으로 고통 받는 우리들에게 실제 일어나고 있는 일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소중한 청력을 보호할 수 있을까? 제조 회사와 정부 당국은 어떻게 청력 손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지도 함께 알아보자!
© Shutterstock
0 / 29 Fotos
조기 청력 손실
- 전문가들은 일상 속에서 긴 시간 이어폰이나 헤드폰, 이어버드를 이용하여 큰 소리로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오늘날의 문화가 조기에 청각을 상실하는 세대를 낳을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 Shutterstock
1 / 29 Fotos
과도한 음량
- 요즘 사람들은 보통 너무 오랜 시간, 너무 큰 음량으로 음향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루 90분, 전체 볼륨의 80% 수준으로 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 Getty Images
2 / 29 Fotos
통일된 음량 기준이 없다
- 하지만 기기별로, 음악별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델별로 음량 출력의 범위가 크게 달라 이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세우기가 어렵다.
© Shutterstock
3 / 29 Fotos
음향 산업의 입장
- 물론 각 개인이 자신의 청력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겠지만 글로벌 음향 산업의 책임도 있다. 지난 2019년 해당 업계는 한 해 동안 250억 달러 규모의 수익을 거두어 들였다.
© Getty Images
4 / 29 Fotos
더 좋은 제품을 사면 청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을까?
- 더 비싼 제품을 산다고 해서 청력 안전과 반드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청력 손실은 음량 출력과 관계가 있다.
© Getty Images
5 / 29 Fotos
옆 사람에게 들리는 정도의 음량은 안돼요!
-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악이 들리면 설정된 음량이 너무 크다는 뜻이다.
© Getty Images
6 / 29 Fotos
세계보건기구 (WHO)
- 세계보건기구는 현재 10억 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청력 상실의 위험에 처해있다고 추정한다.
© Getty Images
7 / 29 Fotos
호주 국립 음향 연구소
- 2017년에 발표된 호주 국립 음향 연구소의 한 연구에 따르면, 호주 국민 10명 중 1명이 정기적으로 헤드폰의 음량을 85 데시벨 이상으로 높인다고 한다.
© Getty Images
8 / 29 Fotos
청력 손실이 야기하는 더 큰 문제들
- 호주 시드니의 맥쿼리 대학에서 재직중인 데이브 알파인 교수는 청력이 한번 상실되면 되돌릴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지금이라도 청력 보호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당신의 청력은 점점 더 나빠질 것이다.
© Getty Images
9 / 29 Fotos
국민 1/4에게 생길 문제
- 호주 국민의 6명 중 1명이 사는 동안 청력 상실을 경험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2050년이 되면 4명 중 1명이 청력 상실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
© Shutterstock
10 / 29 Fotos
10대의 청력 손상
- 미국 인디아나 주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스리칸트 체루쿠리 박사는 오늘날의 10대들이 1980년대나 1990년대의 10대들에 비해 30% 이상 높은 청력 손실을 경험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 Getty Images
11 / 29 Fotos
젊은이들이 겪는 이명 문제
- 미국 뉴저지 주, 뉴어크에 위치한 대학병에서 근무중인 임상청력학자 니콜 라이아는 이명을 호소하는 젊은 환자가 늘어났다고 말한다.
© Getty Images
12 / 29 Fotos
너무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문제
- 요즘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은 아주 어린 나이부터 헤드폰이나 이어폰 같은 휴대용 음향제품을 접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어린 시절의 경험이 장기적으로 평생 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말하기는 이르다고 말한다.
© Getty Images
13 / 29 Fotos
We need to be aware of what we expose ourselves to
- 맥알파인 교수는 다이어트 식단처럼 청력에도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과음을 하면 몸에 해로운 것처럼 과한 소음 역시 청력에 해롭다.
© Shutterstock
14 / 29 Fotos
음향 다이어트
- 맥알파인 교수는 "소음 다이어트를 하셔야 합니다. 시끄러운 공연을 보러 갈 예정이라면 하루 종일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며 보내지 마세요."라고 말했다.
© Getty Images
15 / 29 Fotos
크면 클수록 좋다?
- 많은 사람들은 음량을 높여서 음악 감상하는 것을 선호한다. 사실 이것은 음악 산업에서 꾸준히 음량을 키워온 것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음악과 음악을 전달하는 기술은 점차 더 큰 음량을 구현하고 있지만, 인간의 청각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 Shutterstock
16 / 29 Fotos
음량 전쟁
- 일명 '음량 전쟁'은 1940년대 이후 음악이 점점 더 커지는 추세를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음악이 디지털화되며 음량은 무한대로 늘어났다. 이로 인해 소수의 관계자들은 엄청난 이익을 얻었고 음량이 커지는 경향은 유지되었다.
© Getty Images
17 / 29 Fotos
기준의 필요성
-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청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한 청취 기준 음량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 Shutterstock
18 / 29 Fotos
업계가 안전기준을 정하는 것이 과연 안전할까?
- 각 제조사별로 수많은 정보와 경고가 공유되고 있고, 우리는 어떤 기준을 따라야 할 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 Getty Images
19 / 29 Fotos
사용자에게 미치는 위험성
- 기준이 되는 표준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각 제품마다 음량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더욱 더 큰 위험에 처하고 있다.
© Shutterstock
20 / 29 Fotos
새로운 음향기기로 바꿨을 때
- 새로운 음향기기를 구매하면 우리는 평소 듣던 음량으로 익숙하게 설정을 한다. 최신 사양의 좋은 제품을 구매했으니 귀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결과는? 더 큰 음량으로 청력이 손상되는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
© Shutterstock
21 / 29 Fotos
더 큰 음량의 제품이 더 잘 팔린다
- 음량이 작은 헤드폰은 소비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해서 잘 팔리지 않는다.
© Shutterstock
22 / 29 Fotos
소비자의 선호가 난청 유발 제품의 생산을 장려한다
- 더 큰 음량을 제공하는 음향기기가 더 잘 팔리 제품이기 때문에 제조사들은 더 큰 음량을 내는 제품을 계속 해서 만들게 된다.
© Getty Images
23 / 29 Fotos
장치와의 관련성은 비교적 낮다
- 물론 헤드폰이나 이어폰처럼 스마트폰 등의 기기도 더 큰 음량을 내는 제품이 선호된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음량을 기준으로 스마트폰(오늘날 사람들이 쓰는 주요 음악 감상도구)을 구매하지 않는다. 그래서 기기와 청력 손실은 비교적 관련성이 낮다.
© Getty Images
24 / 29 Fotos
기기에 노출되는 주의사항
-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음량이 청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노출시킨다.
© Shutterstock
25 / 29 Fotos
당신의 청력을 지킬 사람은 바로 당신뿐
- 기억하자! 음량은 항상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너무 오래 들어서는 안된다. 또한 콘서트나 공사장 주변에서는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구를 착용하자.
© Shutterstock
26 / 29 Fotos
더 안전한 제품을 만들 의무감을 느껴야 할 제조사들
- 많은 사람들은 청각 건강에 큰 관심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청력을 지켜야 할 책임은 산업계에 있다. 기업들은 안전한 청취기준을 제안하고, 사용자가 청취 습관을 검토하고 안전한 청취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Shutterstock
27 / 29 Fotos
이어폰과 헤드폰이 당신의 청력을 감퇴시킬까?
- 1979년 소니에서 워크맨이 출시된 이래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음악을 즐기고 있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시끄러운 출퇴근길에도 나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즐거움은 피곤한 일상 속에 작은 휴식을 선사한다. 그러나 세상의 소음은 더욱 커지고 있고, 소리를 귀 속으로 더 크게 전달해주는 여러 기기 덕분에 청각 손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조기 청력 손상으로 고통 받는 우리들에게 실제 일어나고 있는 일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소중한 청력을 보호할 수 있을까? 제조 회사와 정부 당국은 어떻게 청력 손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지도 함께 알아보자!
© Shutterstock
0 / 29 Fotos
조기 청력 손실
- 전문가들은 일상 속에서 긴 시간 이어폰이나 헤드폰, 이어버드를 이용하여 큰 소리로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오늘날의 문화가 조기에 청각을 상실하는 세대를 낳을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 Shutterstock
1 / 29 Fotos
과도한 음량
- 요즘 사람들은 보통 너무 오랜 시간, 너무 큰 음량으로 음향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루 90분, 전체 볼륨의 80% 수준으로 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 Getty Images
2 / 29 Fotos
통일된 음량 기준이 없다
- 하지만 기기별로, 음악별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델별로 음량 출력의 범위가 크게 달라 이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세우기가 어렵다.
© Shutterstock
3 / 29 Fotos
음향 산업의 입장
- 물론 각 개인이 자신의 청력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겠지만 글로벌 음향 산업의 책임도 있다. 지난 2019년 해당 업계는 한 해 동안 250억 달러 규모의 수익을 거두어 들였다.
© Getty Images
4 / 29 Fotos
더 좋은 제품을 사면 청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을까?
- 더 비싼 제품을 산다고 해서 청력 안전과 반드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청력 손실은 음량 출력과 관계가 있다.
© Getty Images
5 / 29 Fotos
옆 사람에게 들리는 정도의 음량은 안돼요!
-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악이 들리면 설정된 음량이 너무 크다는 뜻이다.
© Getty Images
6 / 29 Fotos
세계보건기구 (WHO)
- 세계보건기구는 현재 10억 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청력 상실의 위험에 처해있다고 추정한다.
© Getty Images
7 / 29 Fotos
호주 국립 음향 연구소
- 2017년에 발표된 호주 국립 음향 연구소의 한 연구에 따르면, 호주 국민 10명 중 1명이 정기적으로 헤드폰의 음량을 85 데시벨 이상으로 높인다고 한다.
© Getty Images
8 / 29 Fotos
청력 손실이 야기하는 더 큰 문제들
- 호주 시드니의 맥쿼리 대학에서 재직중인 데이브 알파인 교수는 청력이 한번 상실되면 되돌릴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지금이라도 청력 보호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당신의 청력은 점점 더 나빠질 것이다.
© Getty Images
9 / 29 Fotos
국민 1/4에게 생길 문제
- 호주 국민의 6명 중 1명이 사는 동안 청력 상실을 경험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2050년이 되면 4명 중 1명이 청력 상실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
© Shutterstock
10 / 29 Fotos
10대의 청력 손상
- 미국 인디아나 주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스리칸트 체루쿠리 박사는 오늘날의 10대들이 1980년대나 1990년대의 10대들에 비해 30% 이상 높은 청력 손실을 경험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 Getty Images
11 / 29 Fotos
젊은이들이 겪는 이명 문제
- 미국 뉴저지 주, 뉴어크에 위치한 대학병에서 근무중인 임상청력학자 니콜 라이아는 이명을 호소하는 젊은 환자가 늘어났다고 말한다.
© Getty Images
12 / 29 Fotos
너무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문제
- 요즘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은 아주 어린 나이부터 헤드폰이나 이어폰 같은 휴대용 음향제품을 접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어린 시절의 경험이 장기적으로 평생 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말하기는 이르다고 말한다.
© Getty Images
13 / 29 Fotos
We need to be aware of what we expose ourselves to
- 맥알파인 교수는 다이어트 식단처럼 청력에도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과음을 하면 몸에 해로운 것처럼 과한 소음 역시 청력에 해롭다.
© Shutterstock
14 / 29 Fotos
음향 다이어트
- 맥알파인 교수는 "소음 다이어트를 하셔야 합니다. 시끄러운 공연을 보러 갈 예정이라면 하루 종일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며 보내지 마세요."라고 말했다.
© Getty Images
15 / 29 Fotos
크면 클수록 좋다?
- 많은 사람들은 음량을 높여서 음악 감상하는 것을 선호한다. 사실 이것은 음악 산업에서 꾸준히 음량을 키워온 것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음악과 음악을 전달하는 기술은 점차 더 큰 음량을 구현하고 있지만, 인간의 청각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 Shutterstock
16 / 29 Fotos
음량 전쟁
- 일명 '음량 전쟁'은 1940년대 이후 음악이 점점 더 커지는 추세를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음악이 디지털화되며 음량은 무한대로 늘어났다. 이로 인해 소수의 관계자들은 엄청난 이익을 얻었고 음량이 커지는 경향은 유지되었다.
© Getty Images
17 / 29 Fotos
기준의 필요성
-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청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한 청취 기준 음량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 Shutterstock
18 / 29 Fotos
업계가 안전기준을 정하는 것이 과연 안전할까?
- 각 제조사별로 수많은 정보와 경고가 공유되고 있고, 우리는 어떤 기준을 따라야 할 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 Getty Images
19 / 29 Fotos
사용자에게 미치는 위험성
- 기준이 되는 표준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각 제품마다 음량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더욱 더 큰 위험에 처하고 있다.
© Shutterstock
20 / 29 Fotos
새로운 음향기기로 바꿨을 때
- 새로운 음향기기를 구매하면 우리는 평소 듣던 음량으로 익숙하게 설정을 한다. 최신 사양의 좋은 제품을 구매했으니 귀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결과는? 더 큰 음량으로 청력이 손상되는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
© Shutterstock
21 / 29 Fotos
더 큰 음량의 제품이 더 잘 팔린다
- 음량이 작은 헤드폰은 소비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해서 잘 팔리지 않는다.
© Shutterstock
22 / 29 Fotos
소비자의 선호가 난청 유발 제품의 생산을 장려한다
- 더 큰 음량을 제공하는 음향기기가 더 잘 팔리 제품이기 때문에 제조사들은 더 큰 음량을 내는 제품을 계속 해서 만들게 된다.
© Getty Images
23 / 29 Fotos
장치와의 관련성은 비교적 낮다
- 물론 헤드폰이나 이어폰처럼 스마트폰 등의 기기도 더 큰 음량을 내는 제품이 선호된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음량을 기준으로 스마트폰(오늘날 사람들이 쓰는 주요 음악 감상도구)을 구매하지 않는다. 그래서 기기와 청력 손실은 비교적 관련성이 낮다.
© Getty Images
24 / 29 Fotos
기기에 노출되는 주의사항
-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음량이 청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노출시킨다.
© Shutterstock
25 / 29 Fotos
당신의 청력을 지킬 사람은 바로 당신뿐
- 기억하자! 음량은 항상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너무 오래 들어서는 안된다. 또한 콘서트나 공사장 주변에서는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구를 착용하자.
© Shutterstock
26 / 29 Fotos
더 안전한 제품을 만들 의무감을 느껴야 할 제조사들
- 많은 사람들은 청각 건강에 큰 관심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청력을 지켜야 할 책임은 산업계에 있다. 기업들은 안전한 청취기준을 제안하고, 사용자가 청취 습관을 검토하고 안전한 청취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Shutterstock
27 / 29 Fotos
이어폰과 헤드폰이 당신의 청력을 감퇴시킬까?
당신이 그동안 듣지 못했던 진실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Shutterstock
1979년 소니에서 워크맨이 출시된 이래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음악을 즐기고 있다.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시끄러운 출퇴근길에도 나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즐거움은 피곤한 일상 속에 작은 휴식을 선사한다. 그러나 세상의 소음은 더욱 커지고 있고, 소리를 귀 속으로 더 크게 전달해주는 여러 기기 덕분에 청각 손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조기 청력 손상으로 고통 받는 우리들에게 실제 일어나고 있는 일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소중한 청력을 보호할 수 있을까? 제조 회사와 정부 당국은 어떻게 청력 손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지도 함께 알아보자!
맞춤 추천

































인기
- 실시간
- 일간
- 주간